Quantcast
Channel: 교육부 공식 블로그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7206

특수학교, 주민들도 이용할 수 있는 복합 공간으로 조성합니다

$
0
0

특수학교, 주민들도 이용할 수 있는

복합 공간으로 조성합니다

- 정책연구 결과, 특수학교 설립이 주변 집값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

 

 

교육부는 특수학교 설립의 발전적인 방향모색을 위한정책 연구*를 통해, 특수학교가 인근지역의 부동산 가격에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 특수학교 설립환경을 고려한 학교설립 매뉴얼 개발(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연구기간 : 2016. 4. 2017. 3.

 

이번 연구는 특수학교 설립 과정에서 땅값이 떨어진다는 이유 등으로 특수학교 설립을 반대하는 지역이 많은 점을 고려하여 실제로 특수학교인근지역 부동산 가격에 어떤 미쳤는지실증적이고 객관적인 연구를 통해 편견 없는 정보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었는데요.

 

이를 위해 먼저 전국 167개교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통해 인접(1km 이내)/인접(1~2km 이내) 역의 객관적 비교 조건을 갖춘 특수학교를 대상으로통계치를 추출하여 공시지가 등 10개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했습니다.

1991년에 처음 도입된 부동산공시가격 자료를 활용, 공시가격열람이 가능한 1996년도 이후 설립된 60교를 대상으로 표준지, 단독주택, 공동주택의 공시시가 등 10개의 통계치 분석

 

그 결과, 전국 지역별 특수학교 인접/비인접지역 간의 부동산공시가격 변화율을 산정해 그 차이를 검증한 결과, 표준지가 등에서 의미있는 수준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됐으며, 오히려 특수학교인접지역에서 가격이 오른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죠.

 

전체 특수학교의표준지가와 단독주택가격 변화율은 전국 16개 지역 중 15개 지역이, 공동주택가격은 검증이 가능한 12개 지역 중에서 11지역에서 모두 의미있는 수준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만, 나머지 차이를 보인1개 지역(대구)의 경우, 표준지가와 공동주택가격에서 인접지역의 가격 상승률이 오히려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시지가 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1996년 이후 설립된 특수학교(60개교)의 경우, 표준지가, 단독주택가격, 공동주택가격 상승률을 조사한 결과, 16개 지역 중 14개 지역에서는 의미있는 수준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나머지 2개 지역(울산, 경남)도 오히려 비인접지역보다 인접지역에서가격 상승률이 더 높게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개별 특수학교 인접지역에서 오른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특수학교가 지역지가 등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생각이 근거 없는 편견이라는 점이 입증됨으로써, 특수학교 설립에 대한 지역주민의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교육부는 특수학교 신설 시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의 연령이나 과정별 특성을 고려한 학교급별(···) 소규모 특수학교 또는 특성화고등학교와 같은 직업교육 모델 등을 확대하는 것뿐만 아니라, 특수학교 신설 시 수영장, 도서관 등 지역주민도 함께 이용할 수 있는복합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지역사회와 더불어 상생하는 특수학교 모델을개발하는 등 특수학교 설립 다양화 정책을 적극 추진해 나아갈 계획입니다.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7206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