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교육부 공식 블로그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7206

“2017년 교육부 예산안”발표

$
0
0

“2017년 교육부 예산안”발표

- 사회맞춤형 인재 양성 및 대학 자율성 확대 중점 -


교육부는 재량지출사업 구조조정 및 주요 교육정책사업 재투자 등 재정 효율화를 거쳐 2017년도 교육부 예산안을 전년도 55조 7,459억원에서 4조 9,113억원 증액(8.8%)한 60조 6,572억원으로 편성하였다고 밝혔습니다. 


2017년도 교육부 예산안 중점 편성 방향은 

1) △사회맞춤형 인재 양성 지원, △대학 자율성 확대 지원, △인문사회․이공학분야 개인기초연구 

지원 확대,

2) △지방교육재정 책임성 강화, △인성․진로 교육 강화,

3) △직업교육의 현장성 강화, △국제교육 교류․협력 활성화 지원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부문별로는 

△ 유아및초중등교육 : (’16) 41조 5,119 → (’17) 46조 1,859억원(+4조 6,740억원, 11.3%)

△ 고등교육 : (’16) 9조 1,784 → (’17) 9조 2,673억원(+889억원, 1.0%) 

△ 평생․직업교육 : (’16) 5,894 → (’17) 6,210억원(+316억원, 5.4%)

△ 교육일반 : (’16) 1,073 → (’17) 1,067억원(△6억원, 0.6%)

△ 교육급여․연금 : (’16) 4조 3,589 → (’17) 4조 4,763억원(+1,174억원, 2.7%)


1. 고등교육 부문


1) 사회맞춤형 인재 양성 지원

(산학협력 고도화 지원) ’16년으로 사업이 종료되는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이 ’17년부터 ‘산학협력 고도화 지원’ 사업으로 확대․개편됩니다.

  * LINC :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 (’16) 2,468억원 → (’17) 2,602억원(+134억원)


기존 LINC사업이 구축한 산학협력 친화형 대학체제를 고도화하여 대학의 경쟁력 강화 및 지역발전을 지원하고, 4년제 대학의 교육과정 등에 기업이 참여하여 채용과 연계되는 사회맞춤형교육 모델을 발굴·확산할 계획입니다.


< 산학협력 고도화 지원 사업 내역 >


(대학창업펀드 조성)현재 정부 모태펀드를 통해 조성되는 민간 자(子)펀드의 경우 수익성을 주목적으로 투자하므로, 대학 내 초기 창업기업에 대한 투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존재함에 따라, 대학 내 초기 기업에 대한 맞춤형 펀드로서 대학, 동문, 지자체등이 대학창업펀드조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정부는 중소기업 모태펀드를 통해초기 매칭자금 150억원지원할 계획입니다.

 ※ 대학 창업펀드 조성(신규) : (’17) 150억원


(희망사다리 장학금)대학생들의 안정적 입직․창업과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를 위한 희망사다리 장학금 지원을 강화하고,

 ※ (’16) 213억원, 2,670명 → (’17) 286억원, 3,600명(+73억원, +930명)


대학생직업 체험기회확대 및 저소득층 자녀 방과후 과정 내실화등을 위한 근로장학금을 확대하였습니다.

 ※ (’16) 2,506억원, 10만명  → (’17) 2,629억원, 10.4만명(+123억원, +0.4만명)


2) 대학 자율성 확대 지원

(학부교육선도대학육성)대학이 건학이념과 특성을 살려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대학의 자율성대폭 확대하기 위해, 현장 만족도가 가장 높은‘학부교육선도대학육성사업(ACE*)’지원 규모를 확대하여,

    * ACE : Advancement of College Education

   ※ (’16) 594억원, 32개교 → (’17) 744억원, 약 40개교(+150억원, +8개교)


대학 자율 공모 및 총액 교부(Block funding) 자율편성 원칙에 따라 대학이 자율적으로 수립한 사업계획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지원하게 됩니다. 

(국립대학 혁신지원)또한, 학령인구 감소, 4차 산업혁명 도래에 대비하여 국립대학 자율혁신에 기반한 대학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국립대학 혁신지원(PoINT*)’ 사업을 확대‧개편할 예정입니다.

    * PoINT : Program of national university for INnovation and Transformation

    ※ (’16) 85.5억원(약 16개교) → (’17) 210억원(약 20개교)(+124.5억원, +4개교)


3) 인문사회․이공학분야 개인기초연구 지원 확대

미래 사회변화에 대비한성장 잠재력 확충지속가능한 인문학 진흥등을 위해 인문사회․이공학 학술연구분야 예산을 ’16년 대비 522억원 증액(5,664 → 6,186억원) 하였습니다. 

특히, 풀뿌리 기초연구 저변확대연구자 성장단계별 안정적 연구 지원을 위해 개인기초연구 지원 확대에 중점을 두었으며, (인문사회기초연구) 인문사회 분야연구력이 왕성한 학문후속세대 지원성장단계별(신진-중견-우수학자) 안정적 연구지원을 대폭 확대하고,

    ※ 인문사회 개인기초연구 : ('16) 1,364억원 → ('17) 1,514억원(+150억원)


(이공학개인기초연구) 이공학 분야풀뿌리 기초연구 저변 확대창의적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혁신적 기술개발 촉진을 위해 개인연구 지원을 강화하였습니다.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 : ('16) 2,681억원 → ('17) 3,034억원(+353억원)


<고등교육 부문 주요 사업>


2. 평생·직업교육, 국제 부문


1) 직업교육의 현장성 강화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 전문대학 지원) ’16년으로 사업이 종료되는‘산학협력 선도 전문대학(LINC) 육성’ 사업이‘17년부터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 전문대학 지원’사업으로 새롭게 시작되며,

    ※ (’16) 195억원 → (’17) 888억원(+693억원)

전문대학의 특성과 지역 여건을 고려, 다양한 산학협력 모델을 발굴․확산하고, 현장적응력이 강한 인재양성과 채용연계, 지역발전 전략과 연계하는 사회맞춤형 교육을 활성화할 계획입니다.


<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 전문대학 지원 사업 내역 >


(국가직무능력표준구축) 현장의 직무를 학습으로 연계해 주는 NCS학습모듈은 올해까지 300개 분야를 완료하고, 내년에는 미래유망분야 중심으로 50개 분야를 추가 개발할 계획이며, NCS학습모듈이 지속적으로 현장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수정․보완을 추진합니다.

    ※ NCS 학습모듈 개발 : 226억원(300개 분야) → 38억원(50개 분야)

    ※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산업현장에서 직무수행하는데 필요한 직무역량(지식, 지술 태도)을 산업부문별로 체계화한 표준

   ※ NCS 학습교재(학습모듈) : NCS교육․훈련기관에서 가르치기 위한 학습교재


2) 국제교육 교류․협력 활성화

(ASEM 교육장관회의)’17년‘제6차 ASEM 교육장관회의’를 한국에서 개최하여 한-아시아, 한-유럽 국가 간 교육협력 촉진의 장마련합니다.

    * 제6차 ASEM 교육장관회의(신규) : ('17) 8억원

‘ASEM 교육장관회의’는 2년마다 아시아, 유럽 53개 회원국 교육부 장관이 모여‘아시아-유럽 국가 간 교육협력 증진’에 관한 현안논의하는 장으로서, 특히, 내년 10주년을 맞는 ASEM 교육장관회의에서, 한국 교육리더십의 국제적 위상을 드높이고 아시아-유럽 국가 간 교육협력 미래 10년의 비전을 선도할 계획입니다.


(국제교육 교류협력 활성화)한국정부를 대표하는 국제장학 프로그램(GKS)* 및 교원해외진출 사업**을 확대 운영하기 위해 594억원을 반영하였습니다. 

    * Global Korea Scholarship : (‘16) 3,790명, 500억원→(’17) 4,070명, 519억원(+280명, +19억원)

    ** 교원해외진출사업 : (‘16) 300명, 59억원→(’17) 340명, 75억원(+40명, +16억원)

이를 통해 국내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활성화교사의 해외진출 기반을 마련하여 국제사회 교육분야 교류협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입니다. 

(재외동포교육 운영지원)최근 재외동포수 증가및 한류 붐으로 교육 수요가 급증하는 지역에 재외 한국교육원 2곳*을 신설하여 민족교육 및 한국어 교육 등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 한국교육원 신설 예정(미국 애틀란타, 우크라이나 키예프) : (‘17) 10억원


<평생․직업교육, 국제 부문 주요 사업>


3. 유아 및 초중등교육 부문


1) 지방교육재정 책임성 강화

지방교육재정교부금과 지방교육정책 지원 특별회계를 통한 시도교육청 교부 예산은 총 45조 9,118억원으로, 이는 `16년 본예산 교부금 대비 4조 6,834억원 증액된 수준입니다.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지방교육재정교부금「지방교육정책 지원 특별회계」를 신설함에 따라, 40조 7,128억원으로 편성하였고,


<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사업 내역 >


(지방교육정책 지원 특별회계)누리과정 문제 해결을 위해 국세 교육세를 재원으로「지방교육정책 지원 특별회계」를 신설하여 누리과정 지원 및 방과후학교 지원 등 5개 사업에 5조 1,990억원을 교부할 계획입니다.


< 지방교육정책지원 특별회계 사업 내역 >


2) 인성․진로 교육 강화

(국가진로교육센터운영지원) 국가수준의 진로교육 지원 전담기관’국가진로교육센터‘지정·운영(진로교육법, ’15.6.22)하여 중앙-지역 네트워크 구축 등 체계적인 진로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며,

    ※ 국가진로교육센터운영지원(신규) : (’17) 2.5억원

(인성교육진흥사업) 「인성교육 5개년 종합계획」수립(’16.1.19.)에 따라, 인성교육 지도자료개발·보급과 인성교육 프로그램 인증제를 운영하는 한편, 안정적 인성교육 기반 구축을 위한 연구기능강화합니다.

    ※ 인성교육진흥사업 : (’16) 5억원 → (’17) 6.5억원(+1.5억원)


<유아 및 초중등교육 부문 주요 사업>


한편, 교육부’17년 주요 정책과제 이행등을 위한 지출 소요 증가에 대비하여‘재량지출사업 구조조정 및 절감재원 재투자’ 재정 효율화를 위해 적극 노력하였습니다. 재량지출사업구조조정을 통해 절감재원(4,125억원)일자리 창출, 주요 국정과제, 기초연구 확대, 기타 교육정책 필수소요사업 등에 재투자*하고,

    * 일자리(3개, 159억원), 국정과제(14개, 1,608억원), 기초연구(2개, 504억원), 기타(34개, 1,854억원)

사업성격이 유사한 7개 사업을 3개 사업으로 통․폐합하였습니다.



특히, 한국사학진흥재단과 한국교육개발원의 대학 재정정보 시스템*을 한국사학진흥재단으로 일원화하여 통합 운영할 계획입니다.

    * 한국사학진흥재단 : 결산․기본재산․시설현황 등 대학 재정관련 정보 관리

    * 한국교육개발원 : 대학에 제공되는 국가 및 지자체 지원금 등 재정지원 정보 관리




08-30(화)14시30분이후보도자료_2017년 교육부 예산안.hwp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7206

Latest Images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