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교수업일 조정 현황[9.29.(화) 10:00 기준]
- 6개 시·도 76교 등교수업일 조정
◈ 학생 미등교 사유 및 진단검사 현황[9.29.(화) 00:00 기준]
- 등교 이후 확진자 누계 9.28.(월) 00시 대비 학생 1명 증가 【누계 692명(학생 574명, 교직원 118명)】
※ (학생) 9.28. 1명
등교수업일 조정 현황
등교수업 조정 현황
(단위: 교, ’20.9.29. 10:00 기준)
시도 | 시군구 | 등교수업 조정 학교 수 현황 | |||||||
유 | 초 | 중 | 고 | 특 | 각종 | 기타 | 계 | ||
서울 | 서울 | 1 | 2 | 3 | 2 |
|
|
| 8 |
부산 | 부산 |
|
| 1 | 1 |
|
|
| 2 |
경기 | 경기 | 2 | 2 | 1 | 1 |
|
|
| 6 |
강원 | 강원 |
|
| 1 |
|
|
|
| 1 |
충남 | 보령시 |
|
| 2 | 1 |
|
|
| 3 |
경북 | 경주시 | 56 |
|
|
|
|
|
| 56 |
합 계 | 59 | 4 | 8 | 5 | 0 | 0 | 0 | 76 |
등교수업 조정 사유
9.29.(10시 기준) 6개 시·도 76개 학교가 등교 수업일 조정 중
9.28.(10시 기준) 72교에서 4교 증가(4교 등교수업 조정)
학생 미등교 사유 및 진단검사 현황
학생 미등교 사유별 현황
(9.28. 16시 기준)<단위 : 명>
구 분 | 합 계 | 보건당국격리* | 등교 전 자가진단 | 등교 후 의심증상 |
유치원 | 581 | 42 | 527 | 12 |
초등학교 | 4,351 | 89 | 3,767 | 495 |
중학교 | 2,101 | 158 | 1,650 | 293 |
고등학교 | 4,045 | 142 | 3,482 | 421 |
특수, 각종, 기타 | 87 | 3 | 73 | 11 |
계 | 11,165 | 434 | 9,499 | 1,232 |
전일 대비 | (△1,608) | (20) | (△1,731) | (103) |
* 진단검사 결과 확진 판정 또는 확진자와의 접촉으로 인한 보건당국 격리자
※ 코로나19와 직접 연관된 경우에 한함
등교 이후 진단검사 현황
(9.29. 0시 기준)
구 분 | 검사자 | 양 성 | 음 성 | 검사 중 | |
학 생 | 5.20.~9.27. | 288,286 | 573 | 177,212 | 110,501 |
9.28.(누계) | 289,857 | 574 | 178,261 | 111,022 | |
증감 | 1,571 | 1 | 1,049 | 521 | |
교직원 | 5.20.~9.27. | 36,051 | 118 | 22,356 | 13,577 |
9.28.(누계) | 36,286 | 118 | 22,514 | 13,654 | |
증감 | 235 | - | 158 | 77 |
시·도별 일자별 확진자 발생 현황
(9.29. 0시, 확진일 기준)
구분 | 시도 | ∼9.24. | 9.25.∼9.28. | 합계 | |||
9.25. | 9.26. | 9.27. | 9.28. | ||||
학생 | 서울 | 196 | 2 | 1 | 2 |
| 201 |
부산 | 22 |
| 2 |
|
| 24 | |
대구 | 23 |
|
|
|
| 23 | |
인천 | 30 |
|
|
|
| 30 | |
광주 | 16 |
|
|
|
| 16 | |
대전 | 21 |
|
|
|
| 21 | |
울산 | 4 |
|
|
|
| 4 | |
세종 | 1 |
|
|
|
| 1 | |
경기 | 182 | 2 | 1 |
| 1 | 186 | |
강원 | 19 |
|
|
|
| 19 | |
충북 | 7 |
|
|
|
| 7 | |
충남 | 14 |
|
|
|
| 14 | |
전북 | 2 |
|
|
|
| 2 | |
전남 | 9 |
|
|
|
| 9 | |
경북 | 8 |
|
|
|
| 8 | |
경남 | 7 |
|
|
|
| 7 | |
제주 | 2 |
|
|
|
| 2 | |
소계 | 563 | 4 | 4 | 2 | 1 | 574 | |
교직원 | 서울 | 47 |
|
| 1 |
| 48 |
부산 | 1 |
|
|
|
| 1 | |
대구 | 3 |
|
|
|
| 3 | |
인천 | 6 |
|
|
|
| 6 | |
광주 | 2 |
|
|
|
| 2 | |
대전 | 1 |
|
|
|
| 1 | |
세종 | 1 |
|
|
|
| 1 | |
경기 | 37 |
|
|
|
| 37 | |
강원 | 2 |
|
|
|
| 2 | |
충남 | 6 |
|
|
|
| 6 | |
전북 | 3 |
|
|
|
| 3 | |
전남 | 1 |
|
|
|
| 1 | |
경북 | 3 |
|
|
|
| 3 | |
경남 | 3 |
|
|
|
| 3 | |
제주 | 1 |
|
|
|
| 1 | |
소계 | 117 |
|
| 1 |
| 118 | |
총 합계 | 680 | 4 | 4 | 3 | 1 | 692 |
대학 비대면 교육 긴급 지원사업 신청 대학 명단
(신청 기간) '20.7.31(공고) ~ 9.18.(온라인 마감), ~ 9.22.(오프라인 마감)
(신청 가능 대학) 총 290교 (일반대 167교, 전문대 123교)
※ 적립금 1천억원 이상 일반대 20교, 전문대 2교는 사업 지원 대상에서 제외
(신청 결과)총 239교 신청 (일반대 138교, 전문대 101교)
< 대학 비대면 교육 긴급 지원사업 신청 대학 명단 >
대학구분 | 대학 |
일반대 (138교) | 가천대학교, 가톨릭관동대학교, 감리교신학대학교, 강남대학교, 강릉원주대학교, 강원대학교, 건국대학교, 건국대학교(글로컬), 경기대학교,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경북대학교, 경상대학교, 경성대학교, 경운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 경일대학교, 고려대학교(세종), 고신대학교, 공주교육대학교, 공주대학교, 광신대학교, 광운대학교, 광주대학교, 광주여자대학교, 국민대학교, 군산대학교, 극동대학교, 금오공과대학교, 꽃동네대학교, 나사렛대학교, 남부대학교, 단국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교육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대전대학교, 대진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경주), 동명대학교, 동서대학교, 동신대학교, 동아대학교, 동의대학교, 루터대학교, 명지대학교, 목원대학교, 목포가톨릭대학교, 목포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배재대학교, 백석대학교, 부경대학교, 부산가톨릭대학교, 부산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삼육대학교, 상명대학교, 서경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서울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신학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서울장신대학교, 서원대학교, 선문대학교, 성결대학교, 성공회대학교, 세종대학교, 송원대학교, 순천대학교, 순천향대학교, 숭실대학교, 신한대학교,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아주대학교, 안동대학교, 안양대학교,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영남신학대학교, 예원예술대학교, 용인대학교, 우석대학교, 우송대학교, 울산대학교, 원광대학교, 위덕대학교, 유원대학교, 인제대학교, 인천가톨릭대학교, 인천대학교, 인하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전남대학교, 전북대학교, 전주교육대학교, 전주대학교, 제주대학교, 조선대학교, 중부대학교, 중원대학교, 창원대학교, 청운대학교, 초당대학교, 총신대학교, 충남대학교, 충북대학교, 침례신학대학교, 칼빈대학교, 케이씨대학교, 평택대학교, 한경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국산업기술대학교, 한국성서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한국항공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한남대학교, 한동대학교, 한라대학교, 한림대학교, 한밭대학교, 한서대학교, 한성대학교, 한신대학교, 한양대학교(ERICA), 한일장신대학교, 협성대학교, 호남대학교, 호남신학대학교, 호서대학교 |
전문대 (101교) | 가톨릭상지대학교, 강동대학교, 강릉영동대학교, 강원도립대학교, 거제대학교,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경남도립거창대학, 경남도립남해대학, 경민대학교, 경복대학교, 경북과학대학교, 경북도립대학교, 경북보건대학교, 경북전문대학교, 경인여자대학교, 계명문화대학교, 계원예술대학교, 광주보건대학교, 구미대학교, 군산간호대학교, 군장대학교, 기독간호대학교, 대경대학교, 대구공업대학교, 대구과학대학교, 대구보건대학교, 대덕대학교, 대동대학교, 대림대학교, 대원대학교, 대전과학기술대학교, 대전보건대학교, 동강대학교, 동남보건대학교, 동서울대학교,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동아보건대학교, 동양미래대학교, 동원과학기술대학교, 동원대학교, 동의과학대학교, 동주대학교, 명지전문대학, 문경대학교, 배화여자대학교, 백석문화대학교, 백제예술대학교, 부산경상대학교, 부산과학기술대학교, 부산여자대학교, 부천대학교, 삼육보건대학교, 서영대학교, 서일대학교, 서정대학교, 선린대학교, 수성대학교, 수원여자대학교, 순천제일대학교, 숭의여자대학교, 신구대학교, 신안산대학교, 안산대학교, 여주대학교, 연성대학교, 연암공과대학교, 연암대학교, 영남이공대학교, 오산대학교, 용인송담대학교, 우송정보대학, 울산과학대학교, 원광보건대학교, 유한대학교, 인덕대학교, 인천재능대학교, 인하공업전문대학, 장안대학교, 전남과학대학교, 전남도립대학교, 전북과학대학교, 전주기전대학, 전주비전대학교, 조선간호대학교, 조선이공대학교, 진주보건대학교,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청암대학교, 춘해보건대학교, 충남도립대학교, 충북도립대학교,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충청대학교, 한국관광대학교, 한국복지대학교, 한국영상대학교, 한림성심대학교, 한양여자대학교, 한영대학교, 혜전대학교, 호산대학교 |
※ 미신청 대학은 등록금 대비 장학금 비율이 높은 종교계 대학이거나 학생 수가 적은 소규모 대학이 대부분
※ 보도자료 전체보기는 상단의 첨부파일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